
HOME
>
연구기관
>
인체자원은행 소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은 인간에게서 채취한 조직, 세포, 체액, 혈액 등의 인체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고
연구자의 요구에 맞추어 자원과 자원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악성 암을 비롯한 종양과 임상과와 협력하여
특화자원을 수집, 분리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정도관리와 장비 점검으로 자원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은 환자들의 기증으로 얻은 자원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연구자들에게
윤리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자원을 기증한 환자뿐 아니라 유사한 질환을 앓고 있는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어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Vision&Mission
- 고부가가치 자원 확보 및 활용
- 수요자 맞춤형 분양시스템 구축
- 인체자원은행 전문 인력 양성
- 연구자들이 신뢰하고 의생명 과학발전에 기여하는 은행 구축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장
- 인체자원은행 은행장 김애리
-
- 운영위원회
- 병리과 신봉경 교수
- 병리과 김백희 교수
- 진단검사의학과 임채승 교수
- 임상과 김완배 교수-일반외과
- 최경묵 교수-내분비내과
- 오민정 교수-산부인과
- 신정호 교수-산부인과
- 고성범 교수-신경과
- 우정수 교수-이비인후과
- 이문수 교수-정신건강의학과
- 서홍석 교수-순환기내과
-
- 운영위원회
- 김애리 위원장-병리과
- 신봉경 간사-병리과
- 오상철 교수-혈액종양내과
- 이선일 교수-대장항문외과
- 임채승 교수-진단검사의학과
- 조금준 교수-산부인과
- 인체유래물은행 기관생명윤리위원회
-
- 정보관리 책임교수 : 김백희
- 정보관리
- 행정업무
- 자원관리
-
- 정보관리 책임교수 : 김정열
- 정보관리
- 분양업무
- 자원관리
-
- 자원관리 책임교수 : 정운용
- BIMS관리
- 분양업무
- 자원관리
- 2005년 : 인체유래물은행(구 유전자은행) 보건복지부 허가 승인
- 2011년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정(은행장 병리과 김애리 교수)
- 2011년 : Erasmus MC Tissue bank, Rotterdam, Netherlands 방문 및 협력사업협약 (MOU) 체결
- 2012년 : 인체자원은행 개소식 및 심포지엄 개최
- 2013년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2기 시작 인체자원은행 세미나 개최
2011년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orea Biobank Project)에 선정됨으로 써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지역별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체계(KBN Korea Biobank Network)를 구성하고 있음.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서울대학교병원
- 아주대학교병원
- 서울아산병원
- 고려대 구로병원
- 순천향대 부천병원
- 강원대학교병원
- 충북대학교병원
- 충남대학교병원
- 원광대학교병원
- 전북대학교병원
- 전남대학교 화순병원
- 경북대학교병원
-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경상대학교병원
- 부산대학교병원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제주대학교병원
맟춤형 자원수집 절차

- 인체자원은행과 자원수집 협의
- 인체자원은행 오더 발행
- 동의서 획득 (임상진료과), 각 과로부터 자원수집
-
- Guro KUMC Biobank
- 자원의 수집 : 표준운영지침에 따라 sample 분리 (수집괸 자원의 종류 : tissue, serum, plasma, buffy coat,urine)
- 자원의 보관 : Deepfreezer, LN2 tank
- 자원의 관리 : Daily chack, 관련업체와 maintenance 협약 체결, Deepfreezer 모니터링시스템
- 정도관리 : 수집자원의 일부를 선택하여 RNA 추출 후 Quility test 시행, 조직자원 전수 조직적합성 실시
- 정보관리 : BIMS (bioban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정보관리자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음.
조직 자원의 수집 절차

- Tissue
- 고정액 고정
- 조직적절성 파라핀 블록 제작
- 병리의사 판독
- 블록 및 슬라이드 보관
- Tissue
- 자원채취 : 급속 동결
- 동결조직 냉동보관
혈액 자원의 수집 절차

- 자원채취
- 자원 처리 분리 및 분주
- 이송 -70℃ 냉동 유지
- 보관
- 분양
- 자원채취
- 자원 처리 분리
- 이송 2~8℃ 냉장 유지
- 자원 처리 분리
- 보관
- 분양
- 자원채취
- 이송 2~8℃ 냉장 유지
- 자원 처리 분리 및 분주
- 보관
- 분양
소변의 수집 절차

-

LN2 tank (2대)
-

초저온냉동고(7대)
-

비상알람시스템
한국인체자원은행 표준운영지침에 의해 수집한 조직의 3% 이상에서 RNA를 추출하여 안정성평가를 실시합니다.
한국인체자원은행에서 배포하는 인체자원은행운영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BIMS (Biospecim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정보관리 시스템
- 2013년 2월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동의서 서식이 모두 변경되었습니다. 인체자원은행은 동의서가
올바르게 작성된 자원에 한해서만 분양을 하고 있습니다. 인체자원은행에서 사용되는 동의서는 ‘인체유래물 기증동의서’이며
아래에 관련 동의서 및 서식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 다운로드
Click on the links to download
분양수칙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에 수집된 인체자원은 연구용 목적으로 분양이 가능하며 내부분양 뿐만 아니라 외부분양도
가능합니다. 연구과제명 및 펀드명이 확실하며 소속기관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이 된 과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분양 시
최대분양 개수의 제한은 두고 있지 않지만 자원활용계획서에 자원신청개수의 적절성을 충분히 기술하시어 인체자원은행 내
기관생명윤리 위원회의 승인 후 분양받아 사용 할 수있습니다.
분양신청 절차
- 해당기관 IRB승인확인서가 있는 건만 접수 가능합니다.

- 연구자 분양의뢰 (E-mail 또는 유선)
- 인체유래물은행 해당지원 확보현황 및 동의서 확인
- 운영위원회 분양심의
- 심의 후 승인
- 통보, 분양준비
- 연구자 수령
- 연구자 분양의뢰 (E-mail 또는 유선)
- 인체유래물은행 해당지원 확보현황 및 동의서 확인
- 운영위원회 분양심의
- 심의 후 승인
- 심의 후 보완,반려
- 통보
- 재심의 의뢰
분양 수가
- 현재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에서는 무료로 분양하고 있으며, 분양 자원에 따라 실비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수령 방법
- 직접수령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방문하실 때 박스 및 드라이아이스를 준비해 오시기 바랍니다.
분양 서식
- 연구계획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서,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서약서, 분양신청서, 인체자원 연구활용계획서 (내부, 외부 연구자 동일)
서식 다운로드
Click on the links to download
- 연구자가 보관하고 있던 자원을 은행에 기탁하는 경우
- 인체자원은행과 상의 후 기탁 시작 가능

- 보유자원기탁신청
- 동의서 확보 유무확인
- 인체자원 운영위원회 심의
- MTA 작성
- 익명화, 은행 B-code 발행 및 자원입고
기탁 서식
- 협조문(병원서식), 자원기탁확인서
서식 다운로드
Click on the links to download
- 업무시간 : 월-금 (am9:00-18:00)
- 사무실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구동 4층 439호
- 전화번호 : 02) 2626-2409
- 수집 자원 종류
- 조직 : 암조직,정상조직 pair로 수집
- 혈액 : serum, plasma, buffy coat
- 체액 : 소변
- 분양비 : 무료(분양 자원에 따라 실비가 청구될 수 있습니다.)
- 분양신청 : E-mail 접수 (gurobiobank@gmail.com)
- 수령방법 : 직접수령
* 분양신청자의 의무
인체자원을 이용한 연구결과의 사사 (Acknowledgement)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사사표기가 어려운 경우 연구방법 등에 이용한
인체자원 출처를 표기하여야 합니다.
- - 한글표기
- 본 연구는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orea Biobank Network, KBN)에서 제공한 인체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음.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에서 제공 받음
- - 영문 표기
- The biospecimen and data used in this study was provided by Korea Biobank Network
Provided in Korea University Guro Hosipital of National Biobank
* 인체자원은행은 분양된 인체자원을 활용한 연구결과를 보고하지 않거나 인체자원은행에서 실시하는 연구 성과의 추적평가에
불응하는 연구자는 이후 인체자원의 분양심의요청을 거절 할 수 있습니다. (인체자원은행 자원관리 표준지침)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은 2013년 2월에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합니다.
(관리규정 사이트 : 법제처 http://www.law.go.kr/ 에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교육안내 상세
내부인력교육 |
상설교육 |
KBN &BIMS 활용 실습 교육(동영상) |
월별교육 |
실험실 안전교육 |
연별교육 |
KAIRB 주최교육 이수
질병관리본부 주회 기본교육 및 심화교육 이수
심포지엄 및 학회 8시간 이상 이수
KBN 종사자 합동 워크숍
|
외부인력교육 |
연별교육 |
세미나 |
새로 신설되는 인체유래물은행의 설립에 도움을 주고자 현장방문 및 자문서비스 제공 |
외부은행 방문 신청절차 |
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 사무실로 연락 후 일정 조절
2. 외부은행에서 본 인체자원은행 대표메일로 공문 발송
3. 본 인체자원은행에서 확정 공문 발송
4. 인체자원은행 방문
|
서비스내용 |
- 실무교수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 운영 소개
- 실무자의 자원 수집 및 정도관리 설명
- 실무자의 정보관리 및 동의서 관리 설명
- BIMS 및 바코드 시스템 설명
- 인체자원은행 시설 및 공간 탐방
|
비고 |
- 소요시간 약 1~2시간
- 2012-2013년 약 15개의 은행에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인체자원은행 방문
|
홈페이지 만족도
콘텐츠 내용에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요.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최종수정일: 2014-03-25